
처리율 제한 장치란? 클라이언트 or 서비스가 보내는 트래픽의 처리율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예시 : HTTP의 경우 특정 기간 내에 전송되는 클라이언트의 요청 횟수를 제한하며 API 요청 횟수가 제한 장치에 정의돈 임계치를 넘어서면 추가로 도달한 모든 호출은 처리가 중단 된다 장점 DoS 공격, 봇에서 오는 트래픽, 사용자의 잘못된 이용 패턴으로 유발된 트래픽을 걸러 자원 고갈을 방지하고 서버 과부화를 막는다 서버를 많이 두지 않고 우선순위에 따라 자원을 할당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한다 고려해야 하는 점 어디에 제한? 서버 or 클라이언트 어느 기준으로? 다양한 형태의 제어 규칙을 정의 할 수 있는 유연한 시스템 시스템 규모는? 스타트업 or 사용자가 많은 어떤 환경? 단일 or 분산환경 / 독립된 ..
카테고리 없음
2021. 8. 29. 23:57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이동 윈도우 카운터 알고리즘
- 처리율제한
- 이동 윈도우 로깅 알고리즘
- 처리율 제한 알고리즘
- 글또
- 알고리즘
- 회고
- 개발자
- 고정 윈도우 카운터 알고리즘
- 카카오프로젝트100
- 누출 버킷 알고리즘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